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말정산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 정리(금액, 요건, 참고 사항, 제출서류, 절세 효과

by 1adolcevita 2023. 6. 30.

 

연말정산은 매년 1월부터 2월까지 진행되는 세금 환급 절차다. 연말정산을 통해 세금을 절약하고 환급받을 수 있는 방법은 공제 항목을 잘 활용하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는 특별한 경우에 해당하는 분들에게 제공되는 혜택이므로, 중증환자와 그 가족들의 세금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말정산 시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의 금액, 요건, 참고 사항, 제출서류, 절세 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1.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 금액

1인당 연 200만 원 소득공제가 가능하다. 장애가 중복되더라도 1인당 연 200만 원까지만 공제 가능하다.

 

2.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 요건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아래의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 공제 대상이 항시 치료를 요하는 암, 치매, 심근경색, 중풍 등 중증환자여야 한다. 장애인 등록증 보유 여부와 상관없이, 소득세법상으로 중증환자도 장애인에 해당하여 공제받을 수 있다.
  • 소득금액 연 100만원 이하이거나 근로소득만 있다면 연 500만 원 이하여야 한다. 기본공제 소득 요건과 동일하다.
  • 장애인증명서 상의 장애예상기간이 속하는 연도에 공제 가능하다.

또한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는 기본공제를 받는 사람이 같이 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간암으로 장애인 증명서를 발급받은 아버지에 대해 형과 동생 중 형이 기본공제를 받았으면,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도 형이 받아야 한다.

 

3.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 시 참고 사항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는 대상이라면 다음의 항목도 공제 가능하므로, 가족 중 누가 공제를 받을 것인지 신고 전년도에 미리 절세 전략을 계획해야 한다. 기본공제를 받는 사람이 모든 항목에 대해 일괄 공제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기본공제는 누나가,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는 형이, 의료비는 배우자가 각각 따로 적용받을 수는 없다).

 

  • 총급여액의 3%를 초과하는 의료비에 대해 한도 없이 15% 세액공제 받을 수 있다. 
  • 보장성보험료 100만 원 한도로 12% 세액공제와 장애인전용 보장성보험료 100만 원 한도로 15% 세액공제받을 수 있다.
  • 일반 교육비와 장애인특수교육비에 대해 한도 없이 15% 세액공제 받을 수 있다.
  • 기부금, 신용카드 등 사용액에 대해서 세액공제받을 수 있다(공제율은 사용액에 따라 다름). 공제대상이 형제·자매라면 적용되지 않는다.
  • 공제대상이 경로우대자(만 70세 이상)이면 경로우대 추가공제(1인당 연 100만 원 소득공제)와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를 동시에 받을 수 있다.

 

 

4.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 제출서류

의료기관에서 발급하는 장애인 증명서를 제출하면 된다. 장애 기간이 1년 이상 지속된다면, 장애예상기간이 속하는 동안에는 다시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직장이 변경된 경우에는 해당 서류를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적용 유무를 판단할 수 없으므로, 새 직장에는 제출해주어야 한다.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등과 같은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이렇게 증명서를 요청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지 홈페이지에서도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다. 다만, 해당 병원의 진료 내역이 없는 상태로 진단서를 발급해 달라고 할 수는 없다. 따라서 해당 병원에서 최초 진료 후 진단을 받은 이후에 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다.

 

 4-1. 서울대학교병원 

 

  •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산정특례신청서(중증, 희귀 난치)가 최초 작성된 경우 서울대학교병원 증명서 발급 시스템에서 무료로 발급하거나, 병원 방문 시 무인수납기기에서 발급 가능하다.
  • 서울대학교병원이 아닌 다른 병원에서 산정특례가 등록된 경우, 등록된 최초 병원에서 발급받거나,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담당의사 진료 후 발급받아야 한다.

 

서울대학교 증명서 발급 시스템 바로가기▼

https://sdoc.snuh.org/main.do

 

서울대학교병원 증명서발급시스템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sdoc.snuh.org

 

 4-2. 서울아산병원

 

  • 원무팀 발급 증명서의 경우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발급 가능하다.

 

서울아산병원 증명서 발급안내 바로가기

https://www.amc.seoul.kr/asan/issuepayguide/certificate/certificate.do

 

서울아산병원

앞선 의술 더 큰 사랑을 실천하는 서울아산병원 입니다

www.amc.seoul.kr

 

 4-3. 삼성서울병원

 

  • 삼성서울병원 진료차트 발급 서비스에서 다운로드하거나 병원 내원 시 원무 수납 창구 방문하여 발급 가능하다. 두 가지 방법 모두 무료이다.

 

삼성서울병원 진료차트 발급 서비스 바로가기

https://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Chart/issueService/InfoIssueCertiList.do

 

삼성서울병원 제증명 발급

삼성서울병원 영수증과 진료비세부내역서 등 서류발급 안내입니다.

www.samsunghospital.com

 

 

4-4. 세브란스병원

 

  • 세브란스병원 증명서 온라인 발급 서비스에서 다운로드하거나 병원 내원하여 원무과에서 창구 발급이 가능하다. 수수료 발생 여부는 홈페이지에 명확하게 게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블로그 포스팅을 확인해 본 결과 두 가지 방법 모두 무료인 듯하다.

 

세브란스병원 온라인 발급 서비스 바로가기

https://sev.severance.healthcare/sev/patient-carer/record/online-isuuance.do

 

온라인 발급 서비스

 

sev.severance.healthcare

 

4-5. 서울성모병원

 

  • 서울성모병원 온라인 증명서 발급센터에서 무료로 가능하지만, 재발행이 불가능하니 최초 발행 시 저장하여 잘 보관해 놓는 것이 중요하겠다.
  • 원무과 창구에서 바로 발행 가능한 증명서는 외래진료확인서와 입퇴원확인서만 해당된다고 하니, 내원하여 발급 시 진료과 접수 후 주치의가 작성하여 발급하는 시스템인 듯하다.

 

서울성모병원 제증명 온라인 발급센터 바로가기▼

https://certi.cmcseoul.or.kr/servlet/PKI?COMMAND=START

 

발급센터

 

certi.cmcseoul.or.kr

 

 

5.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 절세 효과

부양가족 기본공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말정산 부양가족 기본공제 정리 확인하기▼

2023.06.27 - [분류 전체 보기] - 연말정산 부양가족 기본공제 정리(금액, 요건, 가산세, 제출서류, 절세 효과)

 

연말정산 부양가족 기본공제 정리(금액, 요건, 가산세, 제출서류, 절세 효과)

연말정산은 매년 1월부터 2월까지 진행되는 세금 환급 또는 납부의 절차이다. 연말정산을 통해 근로소득세를 정산하고, 세액공제와 세액감면을 받을 수 있다. 그중에서도 부양가족 기본공제는

1adolcevita.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연말정산 시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에 대해 알아보았다.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는 항시 치료를 요하는 중증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이라면 요건을 확인 후 신청하여, 세금 부담을 줄이고 환급 받으시기 바란다. 암 등 중증환자 장애인 추가공제를 받으려면 연말정산 신청 시 해당 항목에 체크하고 장애인 증명서를 구비하여 회사에 제출하면 된다.